원경 1회- 사극,로맨스 드라마 (주연: 차주영, 이현욱, 이이담, 이시아 )

원경 1회- 사극,로맨스 드라마 (주연: 차주영, 이현욱, 이이담, 이시아 )

114114 0 46 01.07 15:01

원경의 시작과 권력 장악

  • 드라마 "원경"의 첫 회는 이방원(이성계의 아들)이 권력을 장악하고 왕위에 오르는 과정으로 시작된다.
  • 1차 왕자의 난에서 이방석을 죽인 후, 이방간이 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다.
  • 이방원의 부인 민씨는 갑옷을 입혀 남편을 물리치게 하여, 이방원이 왕위에 오르는 데 결정적인 역할을 한다.
  • 민씨는 훗날 원경 왕후가 되며, 이 사건은 왕실 내의 권력 다툼의 시작을 알린다.

부부의 갈등과 왕실의 법도

  • 왕실의 법도를 가볍게 여기는 이방원과 민씨의 모습이 그려진다.
  • 숙직 상궁은 궁중의 법을 따르라는 말을 하며, 이는 임금과 중전에게 불만을 일으킨다.
  • 이방원은 자신과 민씨의 관계에 대한 불만을 표현하며, 서로 어울리지 않는 모습에 대한 불만이 커진다.
  • 태상왕 이성계는 아들들이 서로 죽이는 모습을 목격하고, 부처님을 원망하며 **"기필코 그 용상을 지옥으로 만들어 줄 것"**이라고 다짐한다.

아버지와 아들 간의 갈등

  • 태상왕 이성계는 아들들 간의 갈등을 목격하고, 이는 아들과 아버지 간의 갈등의 시작을 알린다.
  • 이방원은 부처님을 원망하며, 왕위에 대한 욕망이 커진다.
  • 이 사건은 왕실 내의 권력 다툼을 더욱 부각시킨다.
  • 이방원은 자신의 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게 된다.

왕자의 난과 민씨의 역할

  • 여흥부원군 민제 하륜은 중전으로서 민씨 가문에 힘이 실리는 상황을 보여준다.
  • 중전이 남자로 태어났다면 임금이 되었을 것이라는 막말을 하는 동생들에 대해 방원의 승부욕이 발산된다.
  • 왕자의 난 당시 이방원이 갑옷을 입혀 동복 형제를 처치하게 했던 사건이 회상되며, 민씨의 역할이 강조된다.
  • 민씨가 없었다면 이 사건이 불가능했음을 강조한다.

백성의 불만과 왕실의 갈등

  • 이방원의 통치에 대한 백성들의 불만이 커지며, 태상왕이 맘에 들지 않아 옥새를 들고 도망쳤다는 소문이 퍼진다.
  • 원경은 태상왕의 마음을 열기 위해 정성을 다하겠다고 다짐한다.
  • 방원은 상황이 좋지 않음을 느끼며, 왕실의 갈등이 심화되고 있음을 인식한다.
  • 중전이 보낸 수정 포도를 태상왕이 뱉어내는 장면은 왕실의 갈등을 더욱 부각시킨다.

암살범의 존재와 방원의 충격

  • 교하댁이 임금을 만나기 위해 하륜대감을 찾아가고, 방원과의 관계에서 아이를 낳은 영실이 등장한다.
  • 소요산 행재소에서 태상왕의 호위인 원범과 함께 온 상촉은 방원과 원경의 암살범 존재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.
  • 방원은 암살범의 정체가 이성계의 호위인 원범임을 알고 충격에 빠진다.
  • 이 사건은 방원과 원경 간의 신뢰를 더욱 약화시킨다.

왕권과 외척의 힘

  • 원경은 외척의 힘이 세지면 왕권이 흔들릴 것을 우려한다.
  • 방원은 영실을 궐로 들이겠다는 원경의 말에 화가 난다.
  • 이로 인해 부부 간의 갈등이 심화된다.
  • 왕권과 외척 간의 균형이 중요한 주제로 부각된다.

부부 간의 권력 다툼

  • 부부 간의 일은 왕위에 대한 갈등으로 발전한다.
  • 방원은 원경에게 **"이 나라에서 나는 왕이고, 그대는 이제 나의 신하"**라고 선언한다.
  • 원경은 **"저는 전하의 신하가 아닙니다"**라고 반박하며, 성리학에 대한 논쟁이 벌어진다.
  • 이로 인해 두 사람 간의 권력 관계가 더욱 복잡해진다.

갈등의 심화와 성리학 논쟁

  • 방원과 원경은 서로의 불만을 드러내며 갈등이 심화된다.
  • 방원은 중전이 자존심을 긁었다며 채령을 불러들이고, 임금으로서의 자신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려 한다.
  • 이 모든 갈등은 왕실 내의 권력 다툼과 개인적 감정을 복합적으로 보여준다.
  • 드라마의 긴장감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.

Comments